Math 20

유리수와 무리수의 조밀성

dense 하다는 것이 뭔지 처음 들어봤다 ... ( 집합론 수강을 해야 할지도) 어떤 집합 S가 실수위에서 조밀하다는 것은 모든 a유리수의 조밀성 증명1이제 1+an의 자연수 부분을 k라고 하면k즉 an 무리수의 조밀성 증명약간은 까다로운데 일단 임의의 무리수 x에 대해서 E={qx : q는 무리수}인 집합 E를 생각해보자.E는 실수에서 조밀한데, x를 일단 양수로 가정하고 a/x 와 b/x도 실수고, (x는 0이 아니니) 유리수는 조밀하니 a/x와 b/x 사이에 유리수가 무조건 존재한다. 따라서 E는 조밀하다.근데 무리수 * 유리수 = 무리수이기 때문에 무리수도 조밀하다. 이런 조밀성을 바탕으로 유리수가 실수와 다르게 완비성을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.E={x: x^2x가 유리수라는 조건을 생각해보..

Math/해석학 2025.07.14

kmo 2024 중등 1차 예선 풀이

https://www.kmo.or.kr/kmo/sub07.html 기하 빼고 풀어봤다.경시문제라 뇌깨는 용도로 좋은거 같다.중학교꺼라 쉬운거 같은데 제일 어려운 문제도 수능 준킬러 4점 정도 난이도고 대부분 수능 쉬운 4점 난이도인 것 같다. 아 물론 이건 내 지식수준에서 기준이고 (날먹한게 몇 개 있다.)  발상 난이도만 말한 것 이다.    아래는 재밌는 문제들 후기더보기정답:16번사이드로 날먹하면 0번 돌려서 같은 것 44개, 1,2 번돌려서 같은 것 2개씩이라48/3 =16으로 날먹할 수 있다.      더보기(x+y)^2+(y+z)^2+z^2=2n으로 바꾸고x+y=A,y+z=B,z=C로 두면(1,1,0) (0,1,1) (0,0,1)은 너무 당연하게도 linearly independent한 vet..

Math 2025.01.13

2022 수능 공통 22번

f'(x)=0 이라는 건 극값을 갖는 곳. g(f(1))=2라는 건, f(x)의 극값이 t t+2에서 2개 나타나게 하는 t가 존재한다는 것. 따라서 f(x)는 극 값을 2개 가지는 꼴. 삼차함수의 개형을 잘 살펴보면 g(y)=2가 되게하는 y는 유일하므로 f(1)=f(4). (가)조건은 너무 쉬운 조건: 극값을 가지는 f(x)의 x좌표 차가 2일 수 밖에 없다. 따라서 식을 세워 보면, f(x)=(1/2) *(x-a)^2*(x-a+3)+c (a,c는 상수) f(1)=f(4)때려박으면 a=2 or a=1이다. 이때 g(f(0))=1을 이용해 a=1를 찾으면 된다.